중고차 성능보증보험은 중고차를 구매한 후 예기치 않은 수리비에 대비하여 보험을 가입하는 제도입니다. 이 보험은 중고차 구매자가 안심하고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 가입방법
2019년 6월부로 중고차 매매 업체는 중고차 성능기록부 발급 시 보증보험을 의무로 가입해야 합니다. 때문에 업체에서 구매 시 구입과 동시에 가입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단, 주행거리 20만 km를 넘은 차량은 가입이 불가합니다. 그리고 개인 간 직거래는 성능기록부 발급이 의무가 아니기 때문에 보험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2. 제조사 보증과의 차이점
중고차 보증수리는 일반적으로 제조사 보증과는 다릅니다. 제조사 보증은 신차 구매 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보증으로, 일정 기간, 일정 주행거리 동안 무상으로 수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고차는 이미 사용된 차량이기 때문에 제조사 보증이 종료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때문에 중고차 보증보험은 중고차 구매 후 발생할 수 있는 수리비에 대비하는 보험으로 엔진 고장, 변속기 고장, 조향장치 등과 같은 주요 핵심 부품 또는 핵심 소모품에 대한 수리비에 대비합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중고차이기 때문에 재생(중고) 부품으로 수리를 해준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본인이 새 제품(정품)으로 교체하길 원한다면 차액을 지불하고 교체할 수도 있습니다.
3. 보증보험 접수 방법
중고차 구매 후 1~2주 정도 충분히 주행해 봅니다. 이상 있는 부분을 체크해 두고 차량구매 시 받은 중고차성능점검기록부의 내용과 비교하여 차이점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 성능보증보험 회사로 전화하여 접수합니다. 이때 더 정확하고 추가적인 점검을 원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각 차량 브랜드의 서비스센터와 주변 카센터의 점검도 괜찮지만 개인적으로는 한국자동차보증협회등 인증된 성능검사장에서 구매 시 받은 성능기록부와 비교하며 상이한 부분을 찾아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한독 성능점검장: https://handokai.modoo.at
도이치오토월드 성능검사소: https://www.dautoworld.com/guide/pns.asp
4. 보증보험료
중고차 보증보험은 주로 매매상사에 성능기록부 발급 시 미리 가입하여 제공하며, 구매 시 고객은 보험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이 보험료는 차량의 생산지, 연식, 주행거리, 차종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보험료는 일반적으로 보험사에서 설정한 요율에 따라 산정됩니다.
5. 보험 만료 조건
중고차 보증보험은 일반적으로 30일의 기간과 2,000km 두 가지 조건중 하나가 도래 시 보증이 만료됩니다. 이는 보험을 접수하여 보험사 협력 정비업체에서 점검하는 시점으로 적용되며, 예를 들어 29일 또는 1,950km에 협력 정비업체에서 판정을 받았다면 기간 및 주행거리가 지나도 이상 없이 수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6. 정비업체 선정
보험 접수 시 차량 등록지를 기준으로 인근에 있는 협력업체로 선정되어 점검을 받게 됩니다. 점검 이후 업체가 불성실하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보험사에 다시 전화하여 다른 업체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중고차 보증보험은 중고차 소유자에게 예기치 않은 수리비에 대한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보증하는 부품의 목록과 조건, 그리고 구매 시 받은 중고차성능점검기록부를 자세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동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와 수소차 어떻게 다를까? 그리고 장단점은? (0) | 2023.05.22 |
---|---|
자동차의 차종은 어떤 것 들이 있을까? (0) | 2023.05.21 |
중고차 구매시 판매자 신뢰도 확인 (0) | 2023.05.19 |
중고차 시승할 때 살펴봐야 할 사항 (0) | 2023.05.18 |
중고차 이력 확인 방법 (0) | 2023.05.16 |
댓글